– 직업병 : 공진성 난청, 척추 및 관절 질환, 피부염, 폐 섬유증 등 – 공진성 난청 : 지속적인 높은 소음 노출로 청력을 점차 잃는 상태 – 연고성 척추병증 :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동일한 자세로 오랜 시간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발생 – 피부염 : 화학 물질이나 장시간 자외선 노출등 자극적인 물질이나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피부 문제 – 폐 섬유증 : 아스베스토스 등 유해 물질을 오랜 시간 흡입함에 따라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
– 예방법 및 해결법 : 안전장비의 올바른 착용이 무조건적인 우선시가 되어야 합니다. 소음 감소를 위해 귀마개, 척추 및 관절 보호를 위한 안전벨트, 피부 보호를 위한 장갑과 방호복, 선크림 그리고 호흡기 보호를 위한 마스크 착용. 또한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받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료인
– 직업병 :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과로 증후군, 피로등 –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 병원은 다양한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공간이기에 발생하는 질병 – 과로 증후군, 피로 : 장시간 근무와 스트레스, 높은 집중력이 필요로하는 업무 수행으로 인한 피로와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예방법 및 해결법 : 개인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 또한,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이상 징후 조기 발견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사무직
– 직업병 : 사무실 증후군(눈의 피로, 목/어깨/손목 통증 등), 연고성 척추병증 – 사무실 증후군 : 장시간 동안 앉아서 컴퓨터를 보며 일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증상. 눈의 피로감, 목/어깨/손목의 통증, 거북목, 라운드 숄더(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등근육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며 등이 말리는 증상) – 연고성 척추병증 : 장시간 앉아 일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허리에 과부하가 가해져 발생하는 척추 질환
– 예방법 및 해결법 :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규칙적인 운동(등 운동 필수), 적절한 의자와 책상 선택, 컴퓨터 화면과 눈 사이의 적절한 거리 유지와 모니터의 높이를 눈과 평행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 또한 당연하게도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로 과로 예방하는것이 중요함
– 직업병 : 사무실 증후군 , 손목터널증후군, 거북목, 라운드 숄더 – 사무실 증후군 :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IT 전문가들 또한 장시간 컴퓨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노출 위험도가 높습니다. – 손목터널증후군 :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 사용으로 손목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며 손목의 중앙 터널이 좁아지며 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예방법 및 해결법 : 손목 터널 증후군의 경우, 손목 보호대 착용과 다양한 인체공학적인 도구들로 손목을 지탱해주며 예방 및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사무직과 마찬가지로 작업환경의 개선과 규칙적인 스트레칭,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휴식 시간에 눈의 피로를 해소해야 합니다.
농업 종사자 – 직업병 : 알레르기성 비염, 피부염, 화학 물질에 의한 중독 등 – 알레르기성 비염 : 화학 농약, 농작물 분진, 가축의 분비물 등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알러지 반응 – 피부염 : 화학 농약이나 농작물, 동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 – 화학물질 중독 : 농약, 비료등에 노출되어 화학물질의 중독 증상이 발생 가능
– 예방법 및 해결법 : 작업 시 안전 장비(피부 보호 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화학 물질을 다룰 때는 안전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를 통해 몸의 내성과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상 증상 발생시엔 즉각적인 의료기관 방문이 필요합니다.
방사선 기술자
– 직업병 : 방사선 질환(Radiation Sickness) – 방사선 기술자는 일상 업무 중에 방사선에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또는 높은 레벨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암 등의 질환에 유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예방법 : 적절한 방사선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노출 레벨을 모니터링하며 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꾸준한 방사선 안전 교육을 받아야합니다.
– 치료법 :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하고, 치료법은 노출된 방사선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행사 (파일럿)
– 직업병 : 기내 시차 증후군(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 여러 시간대를 빠르게 이동하면서 일어나는 생체 리듬의 혼란으로 인해 수면 장애와 피로, 집중력 저하 등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예방법 : 정규적이고 규칙적인 숩면 스케줄을 유지하고, 비행 스케줄을 최적화하여 시차 증후군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치료법 : 가벼운 수면 제조, 빛 치료, 멜라토닌 등의 치료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의학적인 지도를 받아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야간 근무자
– 직업병 : 야간 작업에 의한 수면장애 와 발암 가능성 – 야간에 근무하는 직업군은 일과 수면 사이의 바이오 리듬이 교란되므로, 수면장애, 우울증, 심혈관 질환, 소화기계 질환 확률을 높이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국제노동기구 (ILO)와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2급 발암물질이기도 합니다.
– 예방법 :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확보하고, 일과 후에는 밝은 빛을 피해야합니다. 또한,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고, 꾸준한 운동을 통해 혈관을 강화하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 치료법 : 수면 장애가 심각해질 경우, 전문적인 수면클리닉을 통해 상담과 치료를 동반해야합니다.